교차로에서는 신호등과 다른 차들의 움직임을 모두 살펴야 갑자기 서는 차와의 추돌을 피할 수 있다. 신호등이 있는 교차로를 지날 때는 빠르게 통과하겠다는 생각보다 차를 세울 준비부터 하는 것이 안전하다
교차로에서 특히 사고가 많이 나는 이유는 신호를 자신의 눈으로 직접 확인하지 않고 앞차를 따라서 그대로 진행하기 때문이다. 차가 좌우로 교차하는 교차로에서 이와 같은 운전 방식은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신호등이 있는 교차로를 지날 때는 항상 내 앞에서 빨간불이 들어올 것이라는 가정을 한다. 즉, 빠르게 통과하겠다는 생각보다 차를 세울 준비부터 하는 것이다. 차를 멈출 때는 다른 차보다 한발 앞서서, 출발은 한 박자 느리게 하는 것이 안전하다. 교차로에 들어선 후 신호가 노란불로 바뀌면 신속하게 교차로를 벗어나고, 신호등이 빨간불로 바뀔 때쯤이면 건너편 횡단보도가 파란불로 바뀌므로 보행자의 움직임을 잘 살핀다.
우물쭈물한 행동은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신호등이 없는 교차로에서는 특히 주의해야 한다. 교차로에 들어서기 전 충분히 속도를 낮춰 차뿐만 아니라 사람이나 자전거 등의 장애물이 있는지를 살핀다. 상대차가 있을 때는 통행의 우선순위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도로교통법에 따르면 교차로 안에 먼저 들어온 차가 통행우선권을 갖고, 동시에 들어왔을 때는 좁은 도로보다 넓은 도로에서 들어온 차, 좌회전한 차보다는 직진이나 우회전하는 차가 우선권을 갖는다. 가급적 내가 먼저 양보한다는 생각을 해야겠지만 사고가 나면 법적 시비는 통행우선권에 따른다.
정체가 심한 도로에서는 흐름을 잘 살펴 진입한다. 신호등이 파란불이더라도 건너편 차들이 미처 빠져나가지 못했다면 당연히 교차로에 들어서지 말아야 한다. 막힐 줄 뻔히 알면서도 교차로에 들어서는 것은 정체를 더욱 심하게 만드는 이기적인 행동이다. 교차로에서 직진할 때는 대향차선에서 좌회전하는 차에 주의해야 하고, 앞차가 갑자기 정지하거나 진로를 바꿀 수 있으므로 앞차의 움직임에도 주의를 기울인다. 교차로 부근에서는 우물쭈물하지 않는다. 진로방향이 다르다고 해 갑자기 진로를 바꾼다거나 감속하면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이럴 때는 일단 교차로를 통과한 후 U턴이나 P턴 등의 방법으로 진행한다. 교차로를 통과한 뒤에 곧바로 우회전하거나 도로 밖으로 나갈 경우 가깝게 따라오던 뒤차와 추돌할 수 있으므로, 교차로를 통과할 때부터 다음 진행 방향을 알린다.
신호등이 없는 작은 골목길 교차로는 건물 등에 가려 차의 움직임을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교차로에 접어들기 전에 반드시 정차해 주변을 살핀다. 이런 곳은 대부분 반사거울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반사거울을 살펴 자신 쪽으로 좌회전하는 차가 있으면 교차로에 가까이 접근하지 말고 상대차가 쉽게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준다. 항상 다니는 곳과 교통량이 적은 교차로는 운전자의 방심으로 사고 확률이 더욱 높다는 것을 주의하고 안전을 확인하고 난 뒤 지나가는 습관을 갖는다.
[출처]http://kr.auto.yahoo.com/ykbbs/list_bbs.html?bbs_code=10&srch_type=&srch_word=&n=10&cate_code=3&s=&page=3&no=10320950
'기타 > 유용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아이를 영재로 만드는 부모들의 교육습관 (0) | 2010.02.23 |
---|---|
[펌]안전하게 코너 도는 요령 , 진입에 앞서 충분히 속도 줄이는 것이 포인트 (0) | 2009.09.11 |
[펌]비보호 좌회전과 우회전 기술 , 신중하게, 그러나 신속하고 과감하게! (0) | 2009.09.11 |
[펌]우리 아이 손발 건강 지압법 - ② 발 (0) | 2009.08.12 |
[펌]우리 아이 손발 건강 지압법 - ① 손 (0) | 2009.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