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유용한상식

[펌]안전하게 코너 도는 요령 , 진입에 앞서 충분히 속도 줄이는 것이 포인트

코너를 안전하게 돌기 위해서는 스티어링 휠을 꺾기 전에 속도를 충분히 낮춰야 하고, 코너를 돌 때부터는 브레이크가 아닌 액셀 페달로 속도를 조절해야 한다. 도로여건이 허락하는 한 최대한 바깥쪽에서 진입해 코너 안쪽을 스쳐 다시 바깥쪽으로 돌아나가면 안정적으로 코너링할 수 있다. 몸을 구부리지 말고 꼿꼿이 세워 코너 앞쪽의 상황을 확인하는 것도 중요하다
글·박지훈 기자(mannong@carlife.net)

움직이는 차의 동작은 크게 달리기, 서기, 회전하기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운전자의 입장에서 간단하게 설명하면, 달릴 때는 액셀 페달을 조작하고 멈출 때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며 차의 방향을 바꿀 때는 스티어링 휠을 돌리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사실 차를 회전시킬 때는 스티어링 휠의 조작만으로는 무리가 있다. 실제 도로를 달리면서 차를 회전시키려면 스티어링 휠뿐만 아니라 액셀과 브레이크도 함께 조작해야 한다. 그래야만 안전하게 코너를 돌아나갈 수 있다.
코너들 돌기 위해 스티어링 휠을 돌렸을 때는 틀어진 바퀴에 의해 차가 회전하려는 힘과 관성에 의해 차가 직진하려는 힘이 동시에 작용한다. 따라서 이 같은 물리적인 현상을 극복하고 차를 안전하게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액셀과 브레이크, 스티어링 휠을 상황에 맞게 능숙하게 다룰 수 있어야 한다.

코너 진입 전 속도 충분히 낮춰야 안전
완만한 곡선으로 코너 도는 것이 유리


코너를 안전하게 돌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미리 충분히 속도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즉 코너 앞에서 스티어링 휠을 돌리기 이전에 코너를 돌아나갈 만큼 속도를 줄여야 하고, 스티어링 휠을 돌리는 순간부터는 브레이크가 아니라 액셀 페달을 이용해 속도를 조절해야 한다. 이 방법은 경주차가 코너를 최대한 안전하고 빨리 돌아나가기 위해 쓰는 ‘슬로 인 패스트 아웃’이란 레이싱 테크닉과 같다.
좀 더 자세히 알아보면, 코너에 진입하기 전에 충분히 속도를 줄이고 기어 단수도 그 속도에 맞게 바꾸어야 한다. 그리고 스티어링 휠을 돌리면서부터는 코너의 상황에 따라 브레이크가 아니라 액셀 페달로 현재 속도를 유지하거나 조금씩 속도를 높여나가야 한다. 간혹 코너에 접어들 때까지 충분히 속도를 낮추지 않아 스티어링 휠을 돌리는 순간에도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있는 운전자가 있는데, 이것은 매우 위험하고 좋지 않은 습관이다. 앞바퀴를 돌린 상태에서 브레이크를 밟으면 바퀴가 정면을 향할 때보다 빨리 잠기기 때문에 미끄러운 길에서는 차가 코스를 벗어나 스핀할 위험이 크다. 또한 코너를 도는 중간에 발을 브레이크에서 액셀 페달로 옮겨야 하기 때문에 코너를 돌아나가는 시간도 오래 걸릴 수밖에 없다.
경주차를 모는 레이서들은 코너에 진입할 때 차의 앞부분이 방향을 틀 때까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속도를 줄이기도 한다. 이것은 의도적인 것으로, 브레이크를 밟을 때 순간적으로 앞바퀴에 많은 하중이 걸리면서 접지력이 높아지는 것을 이용해 언더스티어나 오버스티어를 줄이는 난이도 높은 테크닉의 하나다. 그러나 레이서가 아닌 일반 도로를 달리는 운전자라면 직선로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거나 엔진 브레이크로 속도를 충분히 줄인 다음 차가 방향을 바꾸기 시작하면 가볍게 액셀 페달을 밟기 시작해 코너를 돌아나가는 순간(클리핑 포인트)에 액셀 페달을 깊게 밟아 코너를 빠져나가는 것이 이상적이다.
‘슬로 인 패스트 아웃’과 함께 코너를 돌 때 가장 중요한 원칙 가운데 하나가 ‘아웃 인 아웃’이다. 즉 코너를 돌 때 원심력으로 인해 접지력이 떨어지는 것을 줄이기 위해 최대한 코너 바깥 가장자리(아웃)를 달리다 코너 정점을 지날 때는 안쪽 가장자리(인)를 스치듯이 지나고 다시 코너 바깥 가장자리(아웃)로 붙어나가는 방법이다. 이렇게 하면 실제의 코너 각도보다 완만한 각도로 코너링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이고 빠른 속도로 코너를 돌아나갈 수 있다.

코너 방향으로 몸을 숙이지 않도록 주의
SUV나 미니밴은 속도 더 낮춰야 안전해


서킷에서 경주를 벌이는 레이서들은 ‘아웃 인 아웃’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지만 도로와 차로 폭이 제한되어 있는 일반 도로에서는 ‘아웃 인 아웃’으로 코너를 돌아나가는 것이 쉽지 않다. 그러나 차로 폭 범위 내에서만 아웃 인 아웃으로 코너를 돌아도 그냥 코너를 돌 때보다 훨씬 안정적으로 코너를 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코너링 속도도 높일 수 있다. 물론 옆 차로에 다른 차가 있을 때는 차로 폭 내에서 이쪽 저쪽으로 오가는 것이라고 해도 다른 운전자에게 위협이 될 수 있으므로 삼가야 한다.
코너를 돌 때의 운전자세 역시 앞에서 설명한 ‘슬로 인 패스트 아웃’이나 ‘아웃 인 아웃’ 못지 않게 중요하다.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코너를 돌 때 본능적으로 코너 방향으로 몸을 구부린다. 그러나 체중을 코너 방향으로 실어야 하는 자전거나 오토바이가 아니라면, 차를 운전할 때 몸을 기울이는 행동은 의미가 없다. 코너 앞쪽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시야가 줄어들기 때문에 오히려 위험한 행동이다. 차라리 원심력에 의해 몸이 코너 바깥쪽으로 조금 밀려나는 것을 내버려두거나 의식적으로 코너 바깥쪽으로 몸을 기울이는 것이 시야확보에 도움이 된다. 처음부터 이 같은 습관을 들이는 것은 어렵겠지만 의식적으로 연습하다보면 몸에 익어 자연스러워질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코너링의 기본적인 몇 가지 원칙은 실제 다양한 도로환경에 모두 쓸 수 있다. 먼저 고속도로를 예로 들어보자. 직선 위주로 설계된 고속도로의 코너는 완만한 편이라 크게 문제될 것이 없다. 다만 경부고속도로의 추풍령, 금강 부근은 산세가 험해 고속도로임에도 코너가 상당히 급한 편이다. 특히 이 부근은 1차로와 중앙분리대 사이에 턱이 놓인 곳이 많기 때문에 코너를 돌 때 차로를 벗어나면 자칫 위험한 상황이 생길 수 있으므로 이곳을 지날 때는 특히 주의하도록 한다.
고속도로와는 달리 지방도나 국도에서는 급한 코너를 자주 만나게 된다. 특히 고개나 산을 넘을 때는 어김없이 S자로 연속된 코너가 이어진다. 보통 오르막길에서는 속도가 나지 않기 때문에 코너를 돌 때 큰 문제가 없지만 내리막길 코너에서는 상당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오르막과는 달리 내리막을 달릴 때는 차에 가속도가 붙기 때문이다. 긴 내리막길에서는 엔진 브레이크를 쓰는 것이 좋고 코너 앞에서는 속도를 충분히 낮춰야 한다.
간혹 S자로 이어지는 국도에서 ‘아웃 인 아웃’으로 코너를 돌기 위해 중앙선을 침범하는 오너가 있는데, 이는 매우 위험한 행동이다. 어느 코너에서 어떤 속도로 상대편 차가 달려올 지 모르므로 중앙선은 절대 넘지 말아야 한다. 중앙선에 박혀있는 반사판을 밟았을 때의 불쾌한 진동을 피하기 위해서라도 중앙선을 넘지 않도록 유의하자.
SUV나 미니밴으로 코너를 돌 때는 승용차를 운전할 때보다 더 주의해야 한다. 무게중심이 일반 승용차보다 높아 코너에서 불안한 거동을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요즘 SUV와 미니밴 오너들은 그 심각성을 잘 알지 못하고 있는 듯하다. 아마도 SUV와 미니밴의 성능이 좋아진 탓에 오너들이 별다른 경계심 없이 이전에 승용차를 운전하던 감각으로 몰기 때문인 것 같다.
그러나 쭉 뻗은 직선로에서는 승용차를 추월해 달리더라도 코너에서만큼은 반드시 일반 승용차보다 속도를 더 낮추어야 한다. 몇 해 전 고속도로 순찰대를 취재하는 과정에서 한 대원이 한 말이 떠오른다. “4WD차나 SUV 운전자들, 제발 고속도로 코너 돌 때 속도를 좀 줄여주세요.” 그의 말에는 고속도로 코너에서 전복된 4WD차를 수도 없이 지켜봐 온 안타까운 심정이 묻어있었다.

[출처]http://kr.auto.yahoo.com/ykbbs/list_bbs.html?bbs_code=10&srch_type=&srch_word=&n=10&cate_code=3&s=&page=10&no=10312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