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몇 분들이 hyperinflation에 관해 질문을 하여 간단히 답변드립니다. Hyperinflation은 money supply(공급)가 물론 증가하여야 합니다. 물론 정부와 중앙은행이 돈찍기를 시작해야 합니다. 하지만 money supply만 늘었다고 해서 hyperinflation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두번째 요건인 money velocity(속도)가 늘어야만 일어납니다. 독일의 경우 전쟁중에 통화량을 4배 이상 증가시켰지만 그동안은 화폐가치가 내려가지 않았습니다. 문제는 그 이후에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바로 money velocity가 증가하였을때, 즉 모든 사람들이 은행에서 돈을 빌리려 하고 갖고 있는 돈으로 물건들을 구입하는 money velocity가 증가하였을때 생겼습니다. 은행은 24시간 영업을 해야 했고 '돈이 도는 속도'(money velocity) 는 무섭게 늘어났습니다. 지난 몇년간의 중국은 이와 비슷한 현상을 보였고 이자율과 지준율등으로 조절하려 하였었지요.
가계부체로 생긴 recession(침체:미국놈들은 공황을 이렇게 완곡하게 표현함)이 Hyperinflation으로 바뀔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왜냐하면 바로 돈을 빌리고 써야 하는 주체가 그럴수가 없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주변을 둘러 보세요. 음식점과 많은 상점들이 점차 문을 닫고 기업들이 문을 닫습니다. 은행들은 돈을 빌려주려 하지 않고 있습니다. 여러분들이 무엇을 많이 살수 있을만큼 돈이 있나요? 사실상 imf때보다 hyperinflaiton으로의 가능성은 더 낮게 보입니다. 국가가 여러분들에게 free money를 나누어 줄까요? 하지만 deflation이던간에 hyperinflation이던 간에 진정한 돈인 금은 항상 그 가치를 보존하니 약간의 금 소유는 모두의 경우에 헤지 역할을 합니다.
(금은 헷지: 몰빵은 금지.)
돈이 많이 풀리는 양이 문제가 아니고, 돈이 풀리는 속도가 문제다.
근대 지금은 속도가 빠를 것 같지가 않은게, 일반인들한태 돈 안빌려준다.
왜냐하면 가계부채가 지금 가장 큰 문제라서, 신용이 없다.
그러므로 하이퍼 인플레는 그렇게 가능성 많아 보이진 않는다.
그래도 모르니까 금도 생각해봐. 미래는 나도 몰라.
'기타 > 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미네르바. 제17 화 "닥치고현금" (0) | 2008.10.28 |
---|---|
[펌]sde제 3화 '부동산을 포기해라.' (0) | 2008.10.28 |
[펌]블룸버그계시록. 제 1화 '키코의 진실' (0) | 2008.10.28 |
[펌]나선 제 3화 '완전정복' (0) | 2008.10.28 |
[펌]시골농부 제1화 '손절타이밍' (0) | 2008.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