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IT관련 썸네일형 리스트형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MTP는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이메일을 보낼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인터넷이 연결된 PC에서 이메일을 보낼 때 사용하는 ‘아웃룩’과 같은 이메일 프로그램들은 대부분 SMTP를 사용한다. 이렇게 보낸 이메일은 해당 이메일 프로그램에서 POP 또는 IMAP이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다. SMTP는 일반적으로 이메일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서 이메일 서버로 보낼 때 사용된다. 반대로 이메일 서버에 있는 이메일 메시지를 이메일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수신하기 위해선 POP 또는 IMAP이 필요하다. 이런 이유로 이메일 프로그램을 초기 설정할 때 POP 또는 IMAP 서버와 함께 SMTP 서버를 동시에 지정해줘야 한다. 별도의 메일 서버를 구축하기 힘든 일반인.. 더보기 UCC(User Creative Contents) 개념 소비자 중심의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소위 프로슈머(prosumer: 생산자(Producer)와 소비자(Consumer)를 합성한 용어로, 자신의 취미활동에 더욱 몰두해 전문가 못지않은 식견과 영향력을 발휘하는 새로운 소비자군)의 활동도 점점 활발해지고 있다. 최근에는 인터넷이 소비의 새로운 축으로 자리잡으면서 그 안에서 UCC(User Creative Contents)라는 개념으로 소비자들의 활동이 두드러지고 있다고 한다. 즉, 소비자들이 만들어 제품과 서비스는 오프라인에만 국한되지 않고, 온라인에까지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는 셈인 것이다. 오늘은 이러한 UCC에 대해 이해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자. UCC(User Creative Contents)는 사용자 제작 콘텐츠 또는 사용자.. 더보기 X 인터넷 소개 1. X 인터넷 소개 1.1 개념 X인터넷은 유비쿼터스 컴퓨팅과 동일한 개념이다. 그러나, X인터넷은 클라이언트와 클라이언트가 서로 '수행 가능한(executable)' 컴퓨팅 환경 구축으로 쌍방향 상호작용을 가능케 하는 컴퓨팅 환경 실현을 목표로 한다는 점과 모든 사물에 센서를 장착하여 물리적인 컴퓨팅 환경의 제약을 넘어선다는 '확장된(extended)' 컴퓨팅 구현이라는 점이 특징이다. 최근의 X 인터넷 기술은 '수행 가능한' 컴퓨팅 환경 구축의 출발 단계로, '수행 가능한' 간단한 코드를 공유함으로 클라이언트 단과 서버의 쌍방향성 의사소통 환경을 가능케 하고 있다. 이렇게 출발된 X 인터넷은 향후 클라이언트 단의 환경 및 서버 운영환경에 쌍방향성 의사소통이라는 변화를 일으킴으로써 센서 네트워크, 유.. 더보기 상류 공정 【upper process】 상류 공정 【upper process】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시스템등의 개발·설계에 있어서의 초기의 단계.주로, 대상물에 요구되는 기능을 추출하는 「요건 정의」나, 실장되는 기능을 정의하는 「기능 정의」, 설계물의 구조를 검토하는 「구성 관리」, 전공정의 스케줄을 계획하는 「계획 입안」등의 공정을 가리킨다. 종래, 상류 공정은 생산성이 직접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경시되는 경향도 있었지만 대상물의 기능이 더욱더 고도화·복잡화 되 한층 더 시장의 경쟁의 격화에서 영향을 받아 단기간으로의 개발이 필수가 되고 있는 현재에 있어서는 상류 공정으로의 설계 활동이 설계물의 품질 및 단기 개발의 가부가 좌우된다고 말해지고 있다. 특히, 시스템이나 장치의 복잡한 기능의 대부분이 소프트웨어로 실장되게 되고 나서는, .. 더보기 [펌]MI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 경영정보시스템 MI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 경영정보시스템 MIS[엠아이에스] 란 기업 경영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컴퓨터 시스템을 말하는데, 때로는 이러한 시스템을 운영하는 사람들을 지칭하기도 한다. 전통적으로 대기업에서 말하는 "MIS" 또는 "MIS 부서"란 본사(또는 본사에서 조정된)의 전문적인 컴퓨터 기술 및 관리 시스템을 말하는데, 종종 메인프레임 컴퓨터뿐 아니라 기업의 컴퓨터 자원을 이용할 수 있는 전사적인 네트웍까지 확장된 개념을 포함한다. 초창기에 기업의 컴퓨터들은 단순히 종업원들의 임금을 계산하거나 회계장부를 관리하는데 사용되곤 했지만, 판매, 재고 그리고 기업 경영에 도움을 주는 여러 데이터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업무 프로그램들이 개발.. 더보기 [펌] 웹에서 한글문제 한글 문제 웹 프로그래머들을 괴롭게 하는 문제를 꼽을 때 빠지지 않는 것이 한글 문제입니다. 한글 문제가 지금처럼 골치 아프게 된 데는 역사적으로 복잡한 원인들이 얽혀 있는데 이런 문제는 접어두고 자바 웹 프로그래머로서 한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알아야 하는 것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자바는 문자열과 바이트 스트림을 다르게 취급합니다. 자바의 스트링은 유니코드의 문자셋을 사용하며 문자열을 파일에 쓰거나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등 실제 입출력이 일어날 때는 문자열을 바이트 스트림으로 변환하게 됩니다. 이 때 바이트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규칙이 인코딩입니다. 따라서 바이트 스트림으로 전달된 것을 문자열로 바꾸거나 문자열을 바이트 스트림으로 전달할 때는 반드시 인코딩을 지정해야 합니다. 이런 인코딩 중 한글을 표현할 .. 더보기 OLAP 란? OLAP 란? 정리 요약되어있는 데이터를 유연한 방법으로 추출하는 방법론을 OLAP라고 한다. 종전에는 모든 응용프로그램에 리포트가 메뉴에 '붙박이'로 붙어 있어 이용자는 그 판매현황 분석을 하기위해 해당 메뉴를 작동하여 리포트를 출력해 업무에 활용했다. 이 리포트의 내용 등은 개발 時 프로그래머에게 요청한 형식대로 개발되어 다양하게 변화하는 영업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데이터를 분석해보기란 용이하지 않았다. OLAP란 다차원적으로 데이터를 재구성하여 준비해 놓고 이용자가 다각도로 현상을 분석할 수 있게 하는 방법론을 의미한다. 이런 OLPA를 위한 전문적인 응용프로그램들이 많이 나와 있으며 MS Excel의 피봇 테이블 기능을 사용하여 단순한 형태의 OLAP를 수행하는 경우도 있다. 더보기 데이터 웨어하우스 [data warehouse, DW] 데이터 웨어하우스의 정의와 특성 데이터 웨어하우스는 1980년대 중반 IBM이 자신이 하드웨어를 판매하기 위해 처음으로 도입했던 개념으로, IBM은 인포메이션 웨어하우스(Informationn Warehouse)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이후 이 개념은 많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툴 공급 업체 들에 의해 이론적, 현실적으로 성장하였으며, 1980년대 후반 Inmon이 데이터 접근 전략으로 데이터 웨어하우스 개념을 사용함으로써 많은 관심과 집중을 받게 되었다. 가장 대표적인 정의는 Inmon(1992)의 것으로 그는 데이터 웨어하우스를 '기억의 의사 결정 과정을 지원하기 위한 주제 중심 적이고 통합적이며 시간성을 가지는 비휘발성 자료의 집합'으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Kelly(1994)는 전사적 데이터.. 더보기 SOA란 무엇인가? 일반적 개념의 SOA란 무엇인가? 먼저 SOA(서비스지향아키텍처)에서 이야기 하는 '서비스'를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SOA에서 이야기하는 서비스는 IT적인 개념이 아니고 비즈니스적인 용어로서 '특정한 기능을 하는 단위'를 서비스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항공권 예약' '호텔 예약' '고객 정보 조회' '예금' 같은 것을 서비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기업의 업무를 기능단위로 나눈 것을 '서비스'라고 합니다. 이러한 기능 단위는 크게 나누거나 보다 자세하게 나눌 수 있는데, '항공권 예약' 이라는 것도 사실 '항공 좌석 조회', '회원정보 조회', '좌석 배정' 같은 더 작은 서비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기업 업무의 어떤 기능을 서비스화 할 것인지, 이러한 서비스 단위를 얼마나 작은 단위로.. 더보기 SOA 2006년 IT업계 전반을 휘감고 있는 최고의 화두는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OA : Service-oriented Architecture)'이다. 1996년 가트너(Gartner)그룹에 의해 처음 소개된 이후 꼭 10년째가 되는 올해 SOA에 대한 개념에 대한 정의나 개념의 실현 가능성 등을 놓고 설왕설래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국내 소프트웨어업계 전반이 SOA 열풍을 준비하고 있다. 작년까지만 해도 마케팅 관점에서 혹은 파일럿 프로젝트를 통해 SOA가 선보였다면 올해에는 본격적으로 레퍼런트 사이트 확보를 위한 움직임이 두드러질 전망이다. 가트너 그룹은 2008년까지 신규 개발 프로젝트의 80%이상이 SOA를 기반으로 개발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렇게 SOA가 소프트웨어 시장 뿐만 아니라, 기업.. 더보기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