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 전 부터 세계 중앙은행의 모순된 행동들과 이들이 금을 헤지로 구입할 가능성을 자주 언급하였습니다. 지금 그 가능성들이 차차 현실화 되고 있다고 봅니다. 여러분들이 대출금리가 오르고 달러가 시중에 말라서 그 가격이 오르고 이자율이 오르는 것에 대해서는 잘 아시리라 생각합니다만 진짜 '금'리인 금에 대한 이자율도 많이 오르고 있다는 사실을 잘 모르고 계시리라 봅니다. 드디어 '금'리는 3%에 가까이 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Credit crunch(신용제한, 규제:금이 돈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규제를 할 필요성이 생긴다는 것.)는 달러나 엔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금에도 보이고 있습니다. 금이 진정한 의미에서의 돈의 역할을 하는 또다른 증거입니다.
역사적으로 몇번 이런 경우가 있었지만 지난 경우들은 세계중앙은행들의 정책이 바뀌는 과정에서 있었던 단기 현상이지만 지금은 그런 이유와 상관없는 위험 순위에 속합니다. 그 이유는 금이 이 세상에서 금광회사들이 퍼올리는 양은 현재 우리가 갖고 있는 총 금의 양에 비하면 매년 한 1~2%밖에 되질 않기 때문입니다. 3%이상의 이자율은 1~2% 생산량을 넘어서고 금이 시중에서 말르고 있는 이유가 됩니다. 주 이유는 세계중앙은행들이 금을 팔거나 빌려주는 것을 꺼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제 남은 것은 이들이 금을 구입하는 단계입니다.
(각국의 한국은행들이 금을 사모은다.)
누누히 말씀드리지만 한국은행을 포함한 세계중앙은행들이 자국의 화폐가치를 올리려고 노력한다고 생각하시면 큰 오산입니다. 미정부와 유럽정부의 최근 행보를 보면 이들이 결코 자신들의 화폐가치가 높아지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 것을 보실수 있습니다. 이들은 inflation fighter(인플레를 막기위해 싸우는자.)가 아니라 deflation fighter(디플레를 막기 위해 싸운다.: 즉 자산가치가 떨어지는 것을 죽기보다 싫어한다. 차라리 인플레로 물가가 올라 서민들이 죽는게 , 자기 재산가치 떨어지는 것 보다 더 좋다는 이야기)이기 때문입니다. 지난 20년 동안 일본 중앙은행의 행보를 보시면 더 잘 아실 겁니다. 죽어라고 엔화 가치를 낮추려 했습니다. 하지만 debt deflation finale(debt deflation빚에 디플레가 생기는 것, 즉 빚진 사람이'배째'를 불러버리면? 빚 못받는다.finale:막장.마지막.)는 엔을 다시한번 오르게 하고 이것에 대한 일본정부와 일본중앙은행의 두려움은 아마 그들의 기저귀를 매일 갈아야만 할 정도라고 농담들을 하지요.
하지만 이들이 진짜 두려워하는 것은 여러분들이 그들의 화폐를 떠날 때 입니다. 여러분들이 원을 버리고 달러나 엔을 산다는 것은 여러분들이 중앙은행/국가의 서비스가 형편없다고 보고 여기에 세금낼수 없다고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자세히 생각해 보시면 일본/미국 정부에 세금을 낼 필요는 더더욱 없지요. 이들이 두려워하는 것은 바로 이것입니다. 그들의 통제력을 벗어나 마켓이 돈을 결정해 버리는 것, 그들이 더이상 속임수와 여러분들의 노동을 노예화시킬수 없는 그런 순간이 온다면 이들에게는 마지막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어느 누구의 빚도 아닌 진정한 금이 다시한번 빛날 것입니다. 저는 이 시기를 내년 여름부터 시작하리라 봅니다. 어떻게 보면 이미 시작하였다고 보여집니다. 널뛰기 금값이 그것을 잘 보여주고 있지요. 아마 세계 중앙은행들을 여러분들보다 발빠르게 금 구입에 나서고 자기네 금(?)고에 금이 이렇게 많이 있다고 떠들며 신용을 얻으려 하겠지요. 이들과의 소리없는 싸움은 10년 이상의 세월과 고통을 남기리라 봅니다.
(진짜 계들이 무서워 하는 것은. 사람들이 돈을 안쓰고, 금을 쓰는 것이다.-돈을 써야 마구 찍어서 사기를 치잖아?)
※역자 추신- 역사적으로 금은 폭등하기 전에 한번 폭락을 합니다.
왜냐구요? 미국 한국은행이 금을 사기 위해 사기를 치는 겁니다. 그래서 싹 한번 털고, 쌀때... 마구마구 사는 것.
'기타 > 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sde 제 2화 '처방전' (0) | 2008.10.28 |
---|---|
[펌]나선 제2화 '일본호구' (0) | 2008.10.28 |
[펌]황금도끼 제 1화 '외국양아치들이 하는 짓거리' (0) | 2008.10.28 |
[펌]sde편 제 1화 '금리를 내려도 금리가 오른다.' (0) | 2008.10.28 |
[펌]sde 제1화 '금리를 내려도 금리가 오른다.' (0) | 2008.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