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S/UNIX&LINUX관련

Unix 팁 from : http://blog.naver.com/qola.do?Redirect=Dlog&Qs=/qola/140003465328 유닉스 혹은 리눅스용 커맨드 팁 모음입니다. 서브 디렉토리까지 파일안의 문자열 모두 검색 haha와 huhu가 동시에 들어있는 행 뽑기 찾아서 지우기 공사중에 로그인 막기 크기가 가장 큰 파일, 디렉토리 찾기 가장 큰 파일을 찾으려면 현재 디렉토리의 크기만을 파악할때 시스템 정보 감추기 어떤 프로세스가 메모리를 가장 많이 잡아먹고 있는지 알아내기 FTP로 들어온 사용자 확인하기 원하지 않는 사용자 죽이기 less 결과를 vi로 보기 vi에서 블럭 설정하기 man 페이지 프린트하기 ping 무시하기 LILO 다시 살리기 특정 사용자 ftp 접근 막기 X 윈도우에서 TV보기 ls.. 더보기
단어 검색하여 목록 리스트 뽑기 hidden이라는 단어가 있는 목록 리스트 find . -name '*.jsp' -exec grep 'hidden' {} \; -print | grep "./" | grep ".jsp" | uniq | nl hidden이라는 단어가 있는 라인 긁어 보여주기 find . -name '*' -exec grep "hidden" {} \; -print 더보기
df (파일시스템들의 사용량 정보확인) 제공 : 리눅스 서버관리자 그룹 -수퍼유저코리아- 현재 사용중인 파일시스템의 전체용량, 사용한 용량, 사용가능한 용량, 사용율, 마운트정보등을 보여준다. 즉, 이 명령어는 현재 사용중인 파일시스템들의 디스크사용량을 출력한다. 서버 장애의 주된 원인이 될 수 있는 File System Full(파일시스템이 꽉참)을 방지하기 위하여 서버관리자의 주된 업무중 한가지가 주기적인 파일시스템 사용량 점검이다. 이때 파일시스템의 사용량점검을 위해 사용되는 명령어가 df이다. 또한 df 명령어는 /etc/fstab파일에서 파일시스템정보를 참조하고, /etc/mtab에서 마운트된 정보를 참조한다. 그리고 기본표시 용량단위는 KB(Kilo Byte)이며, 주로 서버관리자(root)가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사용형식 df [.. 더보기
vi 명령어 간단모음 ★ input or append mode command mode : escape key □ input mode의 명령어 i (insert) : 현재 커서 위치 앞에서 삽입 a (append) : 현재 커서 위치 뒤에서 삽입 I : 현재 줄의 앞에 삽입 A : 현재 줄의 뒤에 삽입 o (open) : 현재 줄의 아래에 새로운 라인을 만들어 삽입 O : 현재 줄의 위에 새로운 라인을 만들어 삽입 x 현재 커서가 있는 곳에 있는 글자 한자를 지우고 버퍼에 저장 X 현재 커서가 있는 왼쪽문자 삭제 D 커서의 위치부터 줄의 끝까지 삭제 dd (delete) 현재 커서가 있는 한 라인을 지우고 버퍼에 저장 (cut) n(숫자) dd 현재 커서가 있는 라인으로부터 n개의 라인을 지우고 버퍼에 저장 u (undo) 1.. 더보기
vi 명령어 삽입 명령 a 커서 뒤에 입력 A 라인 끝에 입력 i 커서 앞에 입력 I 라인시작 부분에 입력 o 커서 있는 라인 밑에 입력 O 커서가 있는 라인 위에 입력 커서 이동 명령 h 왼쪽으로 커서 한 칸 이동 H 화면의 처음으로 이동 L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 L 화면 끝으로 이동 e 다음 단어의 마지막으로 이동 E 커서를 공백으로 구분된 다음 단어 끝으로 이동 b 한 단어 뒤로 이동 B 커서를 공백으로 구분된 이전 단어로 이동 w 커서를 한 단어 뒤로 이동 W 커서를 공백으로 구분된 다음 단어로 이동 k 커서를 한 라인 위로 이동 j 커서를 한 라인 아래로 이동 O 커서를 라인의 시작으로 이동 $ 커서를 라인의 끝으로 이동 Enter 커서를 다음 라인 시작으로 이동 - 커서를 전 라인의 시작으로 이동 Ctr.. 더보기
linux 명령어 1. 기본 명령어 *date: 현재의 날짜와 시간을 단말기 화면에 표시 *who : 유닉스 시스템에 로그인 되어 있는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 *date;who;cat > sample.c : 한 줄에 두 개 이상의 명령어를 동시에 입력하고자 할 경우 명령어 와 명령어 사이를 ; 으로 구분한다 *cal 9 1995 : unix 시스템에 내장되어있는 달력을 화면에 출력 *cat address.list : 파일의 내용을 화면에 출력한다 *man date : 예약어나 명령어에 대한 온라인 매뉴얼 *ls: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 아래에 있는 파일 및 서브디렉토리의 정보를 나열 옵션: -l: 파일의 모든 정보 출력 -c: 최근 변경한 시간 순서데로 출력 -d: 디렉토리 명만 출력 -F: 파일의 특성을 출력.. 더보기
crontab 사용법 1) crontab 파일 형식 ------ -------- --------------------------------------------------- 필 드 의 미 범 위 ------ -------- --------------------------------------------------- 첫번째 분 0-59 두번째 시 0-23 세번째 일 0-31 네번째 월 1-12 다섯번째 요일 0-7 (0 또는 7=일요일, 1=월, 2=화,...) 여섯번째 명령어 실행할 명령을 한줄로 쓴다. ------ -------- --------------------------------------------------- - 한 줄당 하나의 명령 (두줄로 나눠서 표시할 수 없음) - # 으로 시작하는 줄은 실행하지 않는다... 더보기
at 명령어 사용법 ------------------------------------------------------------------------------------ at 명령어 : 배치작업수행, 단 지정시간에 단 1번만 수행 -m 파라미터 : 결과를 메일로 통보한다. -t 파라미터 : yyyymmddhhmm 형태로 지정할때 사용한다. ----------------------------------------------------------------------------------- at -m -t 200405282140 => 지정날짜시간에 실행된다. at -m now => 즉시 실행된다. at -m now +3 min or hours => 지금부터 3분(시간) 후에 실행된다. at -m 23:02 => 현재년월일로 .. 더보기